반응형
5월 11일,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5월 11일 동학농민혁명 기념일은 대한민국의 공식 기념일 중 하나로, 1894년 동학농민혁명의 정신과 희생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국가기념일입니다. 2020년에 처음으로 법정기념일로 지정되었으며, 매년 5월 11일을 기념합니다.
✅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개요
◼ 제정 이유
- **동학농민혁명(1894)**은 조선 말기 탐관오리의 수탈, 외세(청·일)의 침략, 불평등한 사회구조에 맞서 농민과 민중이 자발적으로 봉기한 민중혁명이었습니다.
- 근대적 민권(民權)·자주(自主)·평등(平等)의 사상을 내세웠다는 점에서 한국 민주주의의 뿌리로 평가됩니다.
- 이러한 역사적 가치를 기리기 위해 2020년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지정에 관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며 5월 11일이 법정기념일로 지정되었습니다.
🗓️ 왜 5월 11일인가?
- 1894년 전봉준을 비롯한 동학농민군이 전주성을 점령한 날이자, 정부와 전주화약을 체결하고 집강소를 설치한 날로서,
- 농민이 자주적 지방통치를 실현한 역사적 상징성을 지닌 날입니다.
🌾 동학농민혁명의 핵심 가치
핵심 가치설명

자주(自主) | 외세의 간섭을 배격하고, 조선의 자주권을 지키려 함 |
평등(平等) | 양반-상민의 신분제 해체, 인간 평등 사상 실현 추구 |
민권(民權) | 백성이 주인이 되는 세상(‘사람이 하늘이다’ 사상) |


🏛️ 기념행사 및 관련 시설
주요 행사
- 국가보훈부와 지방자치단체 주관으로 매년 전라북도 정읍 황토현 전적지에서 기념식 개최
- 전봉준 장군 추모제, 역사문화 축제, 학술세미나 등 병행
관련 유적지 및 기념관
장소설명
정읍 황토현 전적지 | 동학군과 관군이 최초로 전투를 벌인 장소 |
동학농민혁명기념관 (정읍) | 전시관, 체험관 등으로 구성, 혁명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소개 |
고창 무장기포지 | 동학농민혁명의 시작점 (1894년 3월 고부 민란 이후 봉기) |
동학농민혁명기념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place.map.kakao.com
🌍 세계의 유사 기념일 – 민중봉기나 농민혁명 관련
1. 🇫🇷 프랑스 혁명 기념일 (7월 14일, 바스티유 데이)
- 1789년 민중이 절대왕정을 상대로 바스티유 감옥을 점령한 사건
- 민주주의와 시민 주권의 상징
- 프랑스 전역에서 퍼레이드, 불꽃놀이 등 성대히 기념
2. 🇲🇽 멕시코 농민혁명 기념일 (11월 20일, 멕시코 혁명기념일)
- 1910년 포르피리오 디아스 독재 정권에 맞서 농민과 노동자가 중심이 된 혁명
- 근대 멕시코 헌법 제정과 사회 개혁으로 이어짐
- 전국에서 행진과 역사 강연, 학생 참여 행사 등 개최
3. 🇨🇳 중국 농민봉기 기념일들 (예: 태평천국 운동 기념)
- 공식 기념일은 없지만, **홍수전이 주도한 태평천국 운동(1851~1864)**은 중국에서 대표적인 민중 봉기로 기록
- 일부 지방 정부에서는 관련 유적지를 보존하고 교육적으로 활용
4. 🇷🇺 10월 혁명 기념일 (구 소비에트 연방의 11월 7일)
- 1917년 볼셰비키 혁명이 승리한 날
- 노동자, 농민 주도의 국가 수립이라는 의미로 장기간 기념됨
- 현재 러시아는 공식 국경일에서 제외했지만 역사적으로 큰 의미
📚 교육·문화적 의미
- 한국: 동학농민혁명은 민중이 최초로 정권과 외세에 저항해 자치와 개혁을 요구한 운동으로, 민주주의 역사 교육의 중요한 기초
- 세계: 각국의 민중봉기 기념일은 정권에 맞선 시민의 참여와 권리, 사회 구조 변화를 상징하며 국가 정체성과 밀접한 관련
✅ 요약
항목내용
기념일 | 5월 11일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
의의 | 자주·평등·민권을 외친 최초 민중혁명 기념 |
주요인물 |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등 |
세계 유사기념일 | 프랑스 바스티유 데이(7.14), 멕시코 혁명일(11.20), 러시아 10월 혁명(11.7 과거) 등 |
공통점 | 민중의 권리 회복, 불평등 타파, 자주성 주장 |
반응형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14일, 식품안전의 날 (18) | 2025.05.26 |
---|---|
5월 12일, 국제 간호사의 날 International Nurses Day (8) | 2025.05.25 |
5월 11일, 입양인의 날 (6) | 2025.05.23 |
5월 10일, 양잠인의 날 (12) | 2025.05.19 |
5월 10일, 유권자의 날 (14) | 2025.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