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4월 19일, 4.19혁명
📌 1. 역사적 배경
▶️ 이승만 정부의 독재 강화
-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대통령에 취임
- 1952년에는 발췌개헌으로 직선제 개헌 → 장기 집권 시도
- 1954년엔 사사오입 개헌으로 헌법까지 바꾸며 3선 허용
- 국민은 점점 불만과 불신을 품게 됨
▶️ 자유당의 권력 독점
- 이승만의 집권당 자유당은 공무원, 경찰 등을 동원해 야당과 언론을 탄압
- 특히 부통령 후보였던 이기붕의 후계 구도를 위한 선거 조작 계획까지 진행
🔥 2. 직접적 도화선: 3·15 부정선거
- 1960년 3월 15일, 제4대 대통령 선거
- 이승만 대통령은 사실상 단독 후보 → 자동 당선
- 부통령 선거에서 이기붕 당선을 위해 대규모 부정선거 발생
예)- 유령 유권자
- 10인조 투표 강요
- 야당 참관인 감금
- 사전투표함 바꿔치기 등
⚠️ 3. 마산 시위와 김주열 열사의 죽음
- 3월 15일: 마산 시민과 학생들 시위 → 무력 진압
- 4월 11일: 김주열 열사의 시신이 마산 앞바다에서 발견됨
→ 눈에 최루탄이 박힌 채 떠올라 전국적으로 분노 확산
✊ 4. 4월 18~19일 대규모 시위
4월 18일
- 고려대 학생들 시위 → 폭력 진압 → 전국 학생 분노 폭발
4월 19일
- 수만 명의 학생과 시민이 서울 도심에서 시위
- “독재 타도! 부정선거 무효!”
- 정부는 무장 경찰과 군인 투입, 실탄 발포
☠️ 이 날 하루에만 186명 사망, 수천 명 부상
🏛️ 5. 이승만 하야
- 국민적 분노와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
- 4월 25일: 교수들도 시국선언 → 전국적 압박
- 4월 26일: 이승만 대통령 하야 발표
- “나는 오늘 대통령직에서 물러나 국민의 뜻을 따르겠습니다.”
📈 4·19 혁명의 의의
구분내용
✅ 민주주의의 시작 | 국민이 독재 정권을 무너뜨린 첫 시민 혁명 |
✅ 학생운동의 상징 | 학생이 중심이 되어 정권을 바꾼 역사 |
✅ 비폭력·자발적 참여 | 조직 없이 순수한 시민 행동이 모여 정권 붕괴를 이끈 사례 |
✅ 세계적 평가 | 1960년대 세계 민주화 운동과 함께 조명됨 (예: 프랑스 68혁명 이전에 발생) |
🕊️ 그 이후
- 이승만 정권 붕괴 → 자유당 해체
- 잠시 장면 내각의 제2공화국 출범 (내각책임제 도입)
- 하지만 1년 후, 5·16 군사쿠데타(박정희)로 또 다른 군부정권 시작
🕯️ 4·19 혁명 기념
- 매년 4월 19일은 국가기념일
- 서울 4·19 국립묘지에는 당시 희생자들이 안장됨
- 대통령이 헌화하고, 학생 및 시민들이 추모식 참여
📖 역사 속 한 마디
“혁명은 총칼이 아니라 국민의 양심과 분노로 이루어졌다.”
– 4·19 관련 교수 시국선언문 중
📌 요약 한 줄
4·19 혁명은 국민이 직접 만든 민주주의의 씨앗이자, 지금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자랑스러운 역사입니다.
반응형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23일, 세계 책과 저작권의 날 (16) | 2025.04.22 |
---|---|
4월 21일, 과학의 날 (16) | 2025.04.20 |
플로깅 Plogging (5) (15) | 2025.04.17 |
4월 16일, 국민안전의 날 (20) | 2025.04.15 |
4월 12일, 도서관의 날 (14)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