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6월 25일, 6·25전쟁일

by L_씨네 2025. 6. 25.
반응형


6월 25일, 6·25전쟁일

6·25전쟁일1950년 6월 25일, 북한의 기습 남침으로 발발한 6·25전쟁(한국전쟁)을 기억하고, 그 교훈을 되새기는 의미 깊은 날입니다. 전쟁의 발발, 경과, 피해, 국제적 반응과 함께 대한민국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는지도 포함해 아래에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6·25전쟁이란?

  • 전쟁 발발일: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 종전일: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 주요 당사국:
    • 남한 (대한민국 + 유엔군)
    • 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국군 + 소련의 지원)

🗓️ 전쟁 기간

3년 1개월 2일간 지속된 한반도 최대 규모의 전쟁

 

 


⚔️ 전쟁의 전개 과정 (간략 요약)

시기내용
1950.6.25 북한, 38선 전역에서 기습 남침 시작
1950.6.28 서울 함락, 국군과 정부는 대전 → 대구 → 부산으로 후퇴
1950.9.15 유엔군, 인천상륙작전 성공 – 전세 역전
1950.10월 북진하여 평양 함락 → 압록강까지 진격
1950.10.25 중공군(중국군) 참전, 국군 후퇴 시작
1951.1.4 1·4후퇴, 서울 다시 함락됨
1951년 중반~1953년 고지전 중심의 교착 상태 유지
1953.7.27 정전협정 체결 (판문점) – 종전 아님
 

 


🔥 피해 규모

  • 인명 피해:
    • 사망자: 약 300만 명 (남북한, 민간 포함)
    • 남한 군인 전사자: 약 13만 명
    • 유엔군 사망자: 약 3만 7천 명 (미군이 다수)
  • 이산가족: 약 1천만 명 이상
  • 경제적 피해: 사회 기반 시설의 대부분이 파괴

 

 


🌐 국제 사회의 반응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북한의 침공을 "국제 평화에 대한 침해"로 규정하고 유엔군 파병 결정
  • 참전국:
    • 전투병 파견: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터키 등 16개국
    • 의료 및 물자 지원: 인도, 스웨덴 등 41개국 이상

 

 

 

 


🇰🇷 대한민국의 6·25전쟁 기념과 교육

📅 6월 25일: 6·25전쟁일

  • 공식 공휴일은 아님
  •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매년 ‘6·25전쟁 기념행사’를 개최
  • 참전용사, 유엔군 관계자 초청 행사, 묵념, 보훈 공연 등

🏛️ 주요 행사

  • 현충원·전쟁기념관에서 추모 행사 및 전시
  • 전국 초·중·고교에서는 계기 수업과 영상 교육
  • TV·라디오 특집 방송, 다큐멘터리 방영

 

 

 

전쟁기념사업회 전쟁기념관

어제의 역사가 오늘의 교훈으로 이어지는 곳

www.warmemo.or.kr:8443

 


🎖️ 우리가 기억해야 할 이유

  1. 전쟁의 참상과 평화의 소중함을 되새김
  2. 참전용사의 희생과 공헌을 기림
  3. 한반도 분단 현실과 통일 문제의 역사적 이해
  4. 민간인 피해, 이산가족, 반인권적 요소에 대한 교훈

 

 


🕊️ 정리 요약

항목내용
명칭 6·25전쟁 (Korean War)
발발일 1950년 6월 25일
종전일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전쟁 성격 한반도의 이념·체제 대립, 국제 냉전의 대리전
주요 교훈 평화의 중요성, 국가안보, 국제협력, 통일의 과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