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6월 28일, 철도의 날
6월 28일, 철도의 날은 대한민국 철도교통의 역사적 출발을 기념하고, 철도산업 종사자들의 노고를 치하하며 철도의 중요성을 되새기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입니다. 아래에 철도의 날의 유래, 의미, 철도 관련 역사 및 현재까지의 변화 등을 상세히 소개해드릴게요.
🚉 철도의 날이란?
- 기념일: 매년 6월 28일
- 의의: 한국 철도의 시작을 기념하고 철도산업의 발전을 독려하기 위한 법정 기념일
- 주관 부처: 국토교통부
- 관련 기관: 한국철도공사(코레일), 한국철도시설공단(현 국가철도공단), 지자체 등
📜 제정 배경 및 역사
📅 기념일의 유래
- 1899년 6월 28일: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 노량진~제물포(현재의 인천) 구간 약 33.2km 개통
- 대한제국 시절 일본 자본에 의해 부설된 경인선 철도의 일부
- 이 날을 기념하여 철도의 날로 제정
📌 제정 과정
- 1964년: 정부가 철도의 날을 9월 18일로 지정 (경인선 전 구간 개통일 기준)
- 2011년: 본래 철도 최초 개통일인 6월 28일로 환원
🚂 한국 철도의 발전사 간략 정리
시기주요 사건

1899년 | 경인선(노량진~제물포) 개통 – 철도의 시작 |
1905년 | 경부선 완공 (서울~부산) |
1945년 | 해방 후 철도 국유화 |
2004년 | KTX 고속철도 개통 (서울~부산, 세계 5번째 고속철 운영국) |
2016년 | SRT(수서고속철도) 개통 |
2020년~현재 | GTX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건설 중 / 남북철도 연결 논의 재개 |


🏗️ 철도의 날 주요 행사
- 정부 공식 기념식: 국토교통부 주관, 유공자 포상, 비전 선포
- 철도문화 전시회/캠페인: 코레일, 철도박물관 등에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 모범 철도인 시상식: 우수 기관사·역무원 등 포상
- 대국민 행사: 무료 시승권 이벤트, 열차 운전 시뮬레이터 체험, 역사탐방
🚅 오늘날 철도의 역할
- 국토 균형발전의 핵심 인프라
- 수도권-지방 연결을 통한 시간 단축
- 지역경제 활성화
- 친환경 교통수단
- 자동차, 항공보다 탄소배출이 적음
- 전철화, 전기기관차 확산
- 남북 철도 연결
- 경의선·동해선 복원 및 연결 추진
- 유라시아 철도망 진입 가능성
🧠 철도 관련 상식 몇 가지
- 한국의 최장 거리 철도 노선: 부산~신의주 경부선+평의선 약 770km (이론상)
- 최고 속도 열차: KTX-이음, 영업 최고 시속 260km
- 최초의 국산 고속열차: KTX-산천 (2010년 도입)
- 철도박물관: 의왕시에 위치, 철도의 날에 무료 개방되는 경우도 있음
📌 정리 요약
항목내용
날짜 | 매년 6월 28일 |
의미 | 한국 철도 개통일 기념, 철도 종사자 격려 |
유래 | 1899년 경인선 개통일 (노량진~제물포) |
주요 기관 | 국토교통부, 코레일, 국가철도공단 |
대표 행사 | 기념식, 유공자 표창, 철도 문화 행사 등 |
반응형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을 줄이고, 더 나아가 지속 가능한 대체재 사용이 뭐가 있을까? (32) | 2025.07.04 |
---|---|
7월 3일,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 International Plastic Bag Free Day (18) | 2025.07.03 |
6월 25일, 6·25전쟁일 (20) | 2025.06.25 |
2025년 하지(夏至) 전후의 별자리 및 천문 현상 (8) | 2025.06.23 |
6월 21일, 하지(夏至) (18) | 2025.06.22 |